정말 충격적인 제목이지 않습니까? 대표적인 건강식품인 우유를 먹지 말라니.. 제 평생 우유가 몸에 안 좋다는 이야기는 들어 본 적도 없을뿐더러 오히려 지금 당장 내 주변의 모든 지인들한테 물어봐도 우유는 건강식품이라는 대답만 들려옵니다.
자 여러분들의 생각을 바꿀 시간입니다. 우유가 좋다는 말은 도대체 누가 퍼트린 걸까요? 바로 우유를 제조 판매하는 회사들입니다. 부모님들, 선생님들이 우유가 좋다는 거 누구 말을 듣고 와서 우리한테 그런 소리를 했을까요? 당연히 우유회사 마케팅입니다.
당연히 할머니 할아버지 시절 어릴 때 전쟁직후 아무것도 먹을 게 없어 굶어 죽던 시절에는 굶어 죽는 거보다 우유라도 먹었을 때 건강이 좋아지는 건 당연한 겁니다. "당장 굶어 죽을래 vs 지금은 건강을 되찾지만 나중에 병들래" 같은 선택지라고 보시면 됩니다.
여러분은 왜 우유가 몸에 좋다고 생각하시나요? 일단 거기서부터 시작해 봅시다. 칼슘? 단백질? 제가 생각했을 때는 이 2가지라고 생각합니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게 칼슘이죠. 칼슘을 왜 섭취하려고 할까요? 뼈 건강 때문입니다. 그 이외에 다른 이유로 우유를 섭취하시는 분이 있나요? 본인은 그냥 맛있어서 먹는 거라고 하면 그건 반박할 수 없습니다. 저도 유제품을 굉장히 좋아하고 즐겼습니다. (매일 밥 먹고 요x정을 찾아 먹으며 나는 유산균을 먹고 있는 중이라고 자기 합리화도 많이 했습니다.) 지금도 참고 있고요...
하지만 여러분 뼈건강을 위해서 칼슘섭취를 위해서 단백질 섭취를 위해서 우유를 드시는 분이라면 지금 바로 섭취를 중단하시기를 바랍니다. 골다공증이 있는 중년의 여성분들 많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논리적으로 생각했을 때 우유에는 칼슘이 많으니까 여성분들은 우유 먹으면 골다공증이 낫겠네요??
정말 그렇게 생각하시나요? 실제로 우유 먹는다고 골다공증 나을까요?
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기아나 과체중이 아닌분이 정상적인 식생활을 한다는 가정하에 우유를 먹는다고 해서 골다공증이 낫지 않습니다. 오히려 악화되면 악화됐지 좋아지지 않습니다.
뼈에는 칼슘이 많으니까 칼슘이 많은 우유를 먹으면 뼈가 튼튼해지겠지라는 생각은 너무 1차원적인 생각입니다. 우리 몸의 대사는 그렇게 간단하지도 1차원적이지도 않습니다. 근육이 없으면 단백질을 먹어서 채우고 뼈가 약하면 칼슘을 먹어서 강하게 만들고. 무슨 게임에서 재료 모아가지고 장비 제작하나요? 우리 몸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습니다.
정말 내가 일반적인 식사를 할 수 없는 극한의 상황에서 칼슘결핍증상, 단백질 결핍증상이 생길 때는 저게 맞습니다. 우유든 뭐든 칼슘이 들어있는 어떤 것이든 먹어주고 소시지든 햄이던 뭐던 단백질이 들어있는 어떤 음식이든 먹어서 채워주는 거 그때는 건강을 향상하는 거 맞습니다. 하지만 여러분들은 그렇지 않잖아요? 제가 지금까지 살아온 분들 중에서는 결핍증상이 생길 정도로 굶고 다닌 분은 못 봤습니다. 병에 걸린 분들 제외하고요.
두 번째로 칼슘섭취는 유제품뿐만이 아니라 들어있는 식품이 많습니다.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칼슘 하면 우유랑 멸치밖에 들어있는 거 아니냐 그러던데. 야채에도 엄청나게 많이 들어가 있습니다. 굳이 칼슘섭취를 위해서 유제품을 먹어야 할 이유가 있나요? 조금만 찾아보더라도 대체할 식품이 넘치고 넘치는데 당장 구글에 칼슘함유 높은 음식들 찾아봐도 수십 개가 나옵니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건강을 챙길 수 있다는 것에서 선택하시는 분도 많은 것 같은데 절대 건강식품이 아니라는 점 말씀드립니다.
제가 왜 이렇게 우유를 까내리는지는 이 글을 보시면 이해가 되실 겁니다. 칼슘 얻고 건강을 잃으실 분 안 계실 거라 믿습니다. https://ttaengurihealth.tistory.com/3
자가 면역 질환은 왜 생길까?
들어가기 전에 비염, 아토피, 알레르기, 피부염 있으신 분들은 꼭 이 글을 보길 추천드립니다. 다들 살면서 자가 면역 질환이라는 단어를 많이 들어 봤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남얘기처럼 대수롭
ttaengurihealth.tistory.com
지금까지 유제품을 무지성 까내리기만 한 이런 두리뭉실한 내용 말고 좀 더 과학적이고 구체적이며 깊은 내용을 알고 싶으신 분들은 다음 글로 넘어가 봅시다. 만약 가볍게 알고 싶으신 분들은 이 글까지만 읽으셔도 충분합니다.